Earnings Call

초장기투자를 위한 어닝콜 리뷰

TSMC(TSM)

TSMC(TSM) 2024년 1분기 실적발표

주식없는주주 2024. 4. 18. 23:05

목차

    반응형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TSM) Q1 2024 Earnings Call Transcript | The Motley Fool

    TSM earnings call for the period ending March 31, 2024.

    www.fool.com

    TSMC의 2024년 1분기 어닝콜 스크립트를 요약.


    2024년 1분기 실적 

    •  매출 전분기比 5.3% 감소, 매출총이익률 53.1%, 영업이익률 42%

    매출액

    • 1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5.3%(대만달러 기준) 감소
    • 스마트폰의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인한 감소, 그러나 HPC 관련 수요 지속으로 하락폭 제한적

    손익

    • 매출총이익률: 53.1% (전분기比 0.1%p 증가)
      • 스마트폰 비수기로 인한 제품믹스 변화가 영향
    • 영업이익률: 42% (전분기比 0.4%p 증가)
      • 엄격한 비용 통제로 영업비용 비중 11.1%로 가이던스(12%) 하회

    주요 재무비율

    • 1분기 EPS: NT$8.7
    • 1분기 ROE: 25.4%

    공정별 매출 비중

    • 3나노: 매출의 9% 기여
    • 5나노: 37%
    • 7나노: 19%  
    • 선단공정(7나노 이하) 비중: 65%

    플랫폼별 매출 비중

    • HPC: 46%로 전분기比 3% 증가
    • 스마트폰: 38%로 전분기比 16% 감소
    • IoT: 6%로 전분기比 5% 증가
    • 자동차: 6%로 전분기 대비 변동 없음
    • DCE(디지털소비자전자): 2%로 전분기比 33% 증가

    현금흐름 및 자본지출

    • 1분기 영업활동현금흐름: NT$436억 창출
    • 1분기 자본지출: NT$181억 (US$5.77억)
    • 1분기 배당금 지급: NT$78억 (2023년 2분기 현금배당)
    • 분기말 현금 잔액: NT$1.7조 (전분기比 NT$233억 증가)

    2024년 2분기 가이던스

    • 매출 전분기比 6% 증가한 196~204억불 예상 
    • 매출총이익률 51~53%, 영업이익률 40~42%

    전체 반도체 시장 전망 (메모리 제외)

    • 당초 전망치에서 하향 조정
    • 2024년 성장률 약 10%로 예상
    • 소비심리 및 최종수요 둔화 우려로 인해 점진적 회복 전망

    파운드리 시장 전망

    • 당초 전망치에서 하향 조정
    • 2024년 성장률 중~고 10% 대로 예상
    • 2023년의 재고 조정 및 낮은 기저 효과 반영

    TSMC 매출 전망

    • 업황 둔화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 유지할 것으로 예상
    • 2024년 매출 전년比 20% 중반 성장 전망 
    • 선단 기술 리더십과 다각화된 고객 기반이 성장 견인
    • 분기별 성장세 지속 예상

    TSMC 주요 고객군별 수요 전망 

    • 스마트폰: 점진적 회복세를 보이나 가파른 회복은 어려울 전망
    • PC: 최악의 상황은 지났으나 회복 속도는 더딘 편
    • HPC(데이터센터):
      • AI 관련 수요는 매우 강하게 지속될 것
      • 반면 전통적인 서버 수요는 다소 둔화된 상황
    • IoT, 소비자가전: 여전히 부진한 상황 지속
    • 자동차: 재고 조정 국면 진행 중

    TSMC에 대한 시사점

    • 하이퍼스케일러들의 지출 구조가 전통적인 서버에서 AI 서버로 전환되는 것은 TSMC에 유리
    • TSMC는 AI 서버용 반도체 대부분을 공급 중
    • 반면 CPU 중심의 전통적인 서버용 반도체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음
    • 전반적인 업황 둔화에도 불구하고 TSMC의 선단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견조한 성장세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

    2024년 시장 전망

    • 전체 반도체 시장(메모리 제외) 약 10% 성장, 파운드리 시장 중~고 10% 대 성장 전망
    • TSMC 매출은 전년比 20% 중반 견조한 성장 예상

    전체 반도체 시장 전망 (메모리 제외)

    • 2024년 성장률 약 10%로 예상
      • 기존 전망치에서 하향 조정
      • 거시경제 및 지정학적 불확실성 지속으로 인한 소비심리 및 최종수요 둔화 우려 반영
    • 다만 점진적이고 완만한 회복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

    파운드리 시장 전망 

    • 2024년 성장률 중~고 10% 대로 예상
      • 기존 전망치에서 하향 조정
      • 2023년의 가파른 재고 조정 및 낮은 기저 효과 감안
    • 전체 반도체 시장 대비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장세 예상

    TSMC 매출 전망

    • 2024년 매출 전년比 20% 중반 성장 전망 (미국달러 기준) 
      • 업황 둔화에도 불구 견조한 성장세 유지
      • 선단 기술 리더십과 다각화된 고객 기반이 성장 견인
    • 2024년 내내 분기별 성장세 이어갈 것으로 예상

    고객군별 수요 전망과 TSMC에 대한 영향

    • 스마트폰
      점진적인 수요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가파른 반등은 어려울 전망
    • PC
      최악의 침체기는 지났으나 회복 속도는 더딘 편
    • HPC (데이터센터) 
      AI 관련 수요는 매우 강세 지속. 반면 전통 서버 수요는 다소 약세
      고객사들의 지출이 범용 서버에서 AI 서버로 전환되는 것은 TSMC에 우호적
      TSMC는 AI 서버용 반도체 대부분을 공급 중이나, 전통 서버용 CPU 비중은 낮음
    • IoT, 소비자가전
      수요 부진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
    • 자동차
      재고 조정 국면이 진행 중인 상황

    AI 관련 수요 급증

    •  2024년 AI 프로세서 매출 비중 10% 초반 예상
    • 향후 5년간 연평균 50% 성장, 2028년 매출 비중 20% 이상 전망

    AI 수요 급증에 대한 TSMC의 견해

    • AI 기술 발전으로 에너지 효율적 컴퓨팅 수요가 구조적으로 가속화될 것이라는 확신
    • 모든 AI 혁신기업들이 TSMC와 협업 중
      • 최신 반도체 공정 기술에 대한 의존도 증가
      • TSMC의 기술 리더십이 고객사 경쟁력 제고에 기여

    TSMC 매출에서 AI 비중 전망 

    • 2024년 AI 프로세서 매출 비중 10% 초반 예상
      •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준
      • GPU, AI 가속기, CPU 등 학습 및 추론 관련 프로세서 매출 포함
      • 네트워크, 엣지, 온디바이스 AI 제외한 수치
    • 향후 5년간 연평균 50% 고성장 전망
    • 2028년 TSMC 매출의 20% 이상 차지 예상

    AI가 TSMC 사업에 미치는 영향

    • 향후 수년간 AI 프로세서가 TSMC 매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
      • HPC 플랫폼 매출 증가를 주도
      • 전사 매출 증분의 최대 기여 분야로 부상 전망

    주요 고객사들의 AI 프로세서 수요 대응 현황

    • 대부분의 AI 프로세서가 현재 5나노 공정 기반
    • 그러나 연산량 증가에 따른 전력 효율 개선 필요
      • 3나노, 2나노 등 선단공정 적용 추세 가속화 전망
    • 주요 고객사들 모두 3나노, 2나노 등 차세대 공정으로의 전환 준비 중

    해외 투자 계획 

    • 미국 애리조나: 1호 팹 양산 개시, 2호 팹 N3+N2 기술 도입, 3호 팹 N2 이상 계획
    • 일본 쿠마모토: 1호 팹 가동, 2호 팹 2024년 하반기 착공
    • 독일 드레스덴: 4분기 착공 예정

    수익성 전망

    • 해외 투자 비용 증가에도 장기적으로 매출총이익률 53% 이상, ROE 25% 이상 달성 자신

    2024년 1분기 수익성

    • 매출총이익률: 53.1% (전분기比 0.1%p 증가)
      • 스마트폰 비수기로 인한 제품믹스 변화가 소폭 기여
      • 반면 환율 악화로 일부 상쇄
    • 영업이익률: 42% (전분기比 0.4%p 증가)
    • 엄격한 비용 통제로 영업비용 비중이 가이던스보다 양호

    2024년 2분기 수익성 전망

    • 매출총이익률: 51~53% (전분기比 1.1%p 하락한 52% 내외)
      • 4/3 지진 영향으로 0.5%p 희석 예상 (웨이퍼 및 재료 손실)
      • 대만 전력 요금 인상으로 0.7~0.8%p 희석 예상 (전년比 25% 인상)
    • 영업이익률: 40~42%

    2024년 하반기 수익성 전망

    • 매출총이익률 하락 압력 예상
      • 대만 전력 요금 인상 영향 지속 (연간 0.6~0.7%p 희석)
        • 원부자재 가격 인상 등 2차 파급효과도 예상
      • 3나노 기여도 확대에 따른 희석 심화 (연간 3~4%p 희석)
        • 상반기 2~3%p → 하반기 3~4%p로 확대
      • 5나노 일부 장비의 3나노 전환으로 1~2%p 희석
    • 원가 절감을 통한 수익성 방어에 총력
      • 다만 고객 가치 제고를 통한 가격 인상도 병행 예정 

    중장기 수익성 전망 

    • 장기 목표 재확인
      • 해외 신규 공장 건설에 따른 비용 상승에도 불구하고,
      • 매출총이익률 53% 이상, ROE 25% 이상 달성 자신
    • 비용 상승 타개 방안
      • 입지 유연성 등에 대한 전략적 가격 인상  
      • 정부 지원 확보를 통한 수익성 방어
      • 규모의 경제 및 기술 리더십 등 원천 경쟁력 강화

    2024년 자본지출 계획

    • 280~320억불 유지, 선단 공정에 70~80% 투자 예정

    2024년 자본지출 규모   

    • 280억~320억 달러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 유지
      • 투자 규모의 적정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점검 중
    • 선단 기술 수요 강세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 투자 지속

    자본지출의 목적

    • 미래 수년간의 성장을 위한 선제적 투자
      •  장기적 시장 수요 전망에 기반해 투자 규모 및 방향성 결정
    • 특히 HPC 및 AI 관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에 집중
      • 고객사들의 신뢰 제고 및 미래 성장 잠재력 확보 목표

    자본지출의 공정별 배분 계획

    • 선단 공정 투자에 전체의 70~80% 집중
      • 3나노 및 2나노 등 선단 로직 공정이 대부분 차지할 전망
    • 특수공정 투자에 10~20% 배분
      • 파운드리 내 특수공정(Specialty) 투자 지속
    • 첨단 패키징, 테스트, 마스크 제작 등에 나머지 10% 가량 투입

    자본지출 효율성 제고 방안

    • 선단 공정 간 장비 호환성 극대화로 투자 효율 개선
      • 5나노 장비의 3나노 전환 등 공정 간 연계 강화
    • 투자 적정성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체계 강화  

    자본지출과 장기 재무목표의 정합성

    • 당분간 연간 자본지출이 매출 대비 mid-30% 수준을 유지할 전망
      • 매출 증가율이 자본지출 증가율을 상회하며 자본집약도는 점진적 하락 예상
    • 중장기 수익성 목표와의 정합성도 유지될 것으로 판단
      • 차별화된 기술력에 기반한 가격 인상 등으로 비용 상승 압력 완화 가능
    반응형